본문 바로가기
그림 수익화

유토이미지 작가 신청 도전: 스톡 이미지 수익화의 새로운 기회

by 하늘색미술 2025. 3. 10.
반응형

최근 캔바와 미리캔버스에서 예상치 못한 수익이 발생하면서,

올해는 스톡 이미지 활동을 본격적으로 확대하기로 결심했다.

현재 운영 중인 미술학원과 외부 강의만으로는 장기적인 수익을 보장하기 어려워,

또 다른 파이프라인으로 스톡 이미지 시장을 적극 활용해 보기로 한 것이다.

다양한 스톡 이미지 플랫폼 탐색

현재 나는 손그림을 PNG 파일로 변환한 후, 캔바, 미리캔버스, 그리고 어도비스톡에 업로드하고 있다.

또 다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플랫폼이 필요해 찾던 중 유토이미지와 툴디를 알게 되었다.

툴디는 일정 등급이 되어야(실버그레이드) 수익화가 가능해 당장 시작하기 어려웠고,

유토이미지는 작가 신청을 통과해야 판매가 가능했다. 그래서 먼저 유토이미지에 도전하기로 했다.

유토이미지 작가 신청 과정

유토이미지 작가 신청은 공식 홈페이지 하단에서 '작가 지원하기'를 통해 진행할 수 있다.

주말 동안 포트폴리오를 준비하면서 몇 가지 유의할 점을 발견했다.

  1. 포트폴리오 구성: 10장 이상의 이미지를 제출해야 하므로, 비슷한 스타일의 작품을 모아 하나의 파일로 만들고 이를 10개 구성했다.
  2. 파일 형식 변환: 유토이미지는 PNG 파일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모든 이미지를 AI 파일로 변환해야 했다. 변환된 파일 외에도 작품 미리보기를 위한 추가 이미지도 함께 첨부해야 한다.
  3. 신청 후 심사 과정: 유토이미지는 보통 수요일에 심사를 진행하며, 결과는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고 한다.

작가 지원하기는 찾기 쉽다.
위의 파일형식 중 원하는 형식의 파일로 만들어 올리면 된다.
모두 압축시켜 하나의 파일로 만들어 보내야한다.

스톡 이미지 시장에서의 가능성

현재 엣시는 광고 없이 운영 중이라 수익이 미미한 반면,

캔바와 미리캔버스는 업로드한 만큼 성과를 낼 수 있는 구조라 앞으로도 집중할 계획이다.

여기에 유토이미지까지 추가되면 수익화의 폭을 좀 더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포트폴리오 준비가 예상보다 빠르게 끝났고, 이제 심사 결과를 기다리는 일만 남았다.

부디 좋은 소식이 있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해 나만의 스톡 이미지 시장을 확장해 나가려 한다.

반응형

댓글